기업의 다양한 C 레벨 알아보자!
누구나 한번쯤 나의 꿈은 기업을 운영하는 CEO가 될거야 하고 생각했던 분들이 계시겠죠? 기업을 대표하는 최고 책임자인 CEO가 혼자 다양한 분야의 업무를 알고 지휘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일인데요.
이로 인해 각 분야의 대표 책임자를 두는 경우가 많아졌어요. CFO, CMO, CSO 등 바로 C로 시작하는 용어들이죠. 오늘은 바로 기업의 대표 책임자들인 C-Level에 대해 알아보고 의미와 역할에 대해 살펴볼게요!
C-Level은 무슨 뜻일까?
C로 시작하는 CEO, CFO, CMO 등의 기업의 최고 경영진을 의미하는 용어예요. 예전에는 사장이라는 단어로 기업의 대표이사를 쉽게 호칭했다면 지금은 기업의 세분화된 다양한 대표직을 일컫는 용어가 필요하다는 것인데요. 일반적으로 기업 경영을 CEO 혼자서 책임지기는 어렵기 때문에 각 분야별로 대표 책임자를 두는 것이죠. 즉 각 분야별 대표 책임자를 통틀어 C-Level 이라 부르고 C-suite라고 불리기도 해요.
CEO(Chief Executive Officer): 최고경영책임자
기업의 최고 경영 책임자이고 가장 높은 의사결정권을 갖고 있죠. 쉽게 생각해보면 CEO는 기업의 회장이고 대표이사를 일컫는데요, 직위가 사장이지만 기업을 대표하는 권한인 대표이사에 선임되지 않는다면 CEO라고 부를 수 없어요. 기업의 운명과 성패를 좌지우지하는 것은 CEO의 판단력과 위기 대응력에 따라 달렸으며 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직책이죠.
COO(Chief Operating Officer): 최고운영책임자
최고경영책임자가 결정한 의사에 대해 실행하는 역할로 실행에 대한 책임을 지는 직급이에요. 주요 사업을 운영하고 회사 운영에 대해 전반적인 관리를 하는 자로 임직원과의 소통이 중요한 역할이기도 해요. CEO와 유사한 업무의 영역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CEO가 COO를 겸임하는 경우도 있어요. 단 차이점이 있다면 CEO는 외부 투자자와의 관계를 조율하는 경우가 많지만 COO는 회사 내부의 업무에 좀 더 집중하는 경우가 많아요. CEO, CFO, COO는 기업의 3대 최고경영인으로 분류되기도 해요.
CTO(Chief Technology Officer): 최고기술책임자
기술분야전체 담당하는 책임자로 기술 기반 기업이라면 반드시 필요한 직급이에요. 기술 발전 방향을 제시하며 회사의 기술 개발을 총괄하죠. 또한 내부 기술에 대한 정보를 담당하다보니 최고의 보안이 요구되기도 하는데요, IT 기반의 기업들에게는 CTO는 중요한 비중울 차지하는 직급이고 기술력 보강을 위해 스타트업은 CTO 영입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도 하죠.
CFO(Chief Financial Officer): 최고재무책임자
기업의 업무 분야와 상관없는 CEO에 버금가는 핵심직급으로 기업의 돈줄을 관리하는 책임자예요.
재무와 회계 업무가 주업무이지만 넓게는 투자와 M&A 전략을 담당하는 경우도 있어요. 중요성이 큰 자리인만큼 CFO를 부사장급으로 우대하는 기업도 많이 있으며 스타트업의 경우 외부 회계 법인에 맡기는 경우도 있죠. 하지만 자금 규모가 커지고 보안 필요성이 중요해지면서 내부 CFO를 두는 경우가 많아졌어요. 스타트업의 CFO는 재무관리의 불확실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이 더욱 필요하죠.
CMO(Chief Marketing Officer): 최고마케팅책임자
기업의 마케팅 총괄하는 자로 최근에 마케팅은 외부에 제품을 단순히 홍보한다는 것을 떠나 소비자에게 생산자의 가치를 전달하는 것에도 큰 비중을 두고 있어요. 기업 전체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소비자의 성향을 꿰뚫어 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직급이기도 해요.
그 외 C레벨 직급은 또 무엇이 있을까요?
CSO(Chief Strategy Officer): 최고전략책임자
CBO(Chief Business Officer): 최고사업개발책임자
CHO(Chief Human resource Officer):최고인사책임자
CSO(Chief Security Officer): 최고보안책임자
CIO(Chief Information Office): 최고정보책임자
기업에 따라 회사의 상황에 따라 새로운 C레벨 직급을 신설하기도 하는데요, 엔씨소트프의 경우 COO라는 Chief Creative Officer 최고 창의력책임자라는 직급이 있어요. 창의력이 게임 개발에 있어 얼마만큼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직급이지요. 엔씨소프트 CEO인 김택진씨가 COO도 겸임하고 있어요.
스타트업의 경우 다양한 C레벨의 대표직을 갖춰 팀을 꾸리기가 생각보다 어려워요. 인적 네트워크도 부족하고 C레벨을 채용할 경우 인건비 부담을 무시할 수가 없게 되죠. 이로 인해 초기 스타트업 대표는 사업 아이템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 회계, 마케팅, 기술에 대한 배경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요해요.
회사의 성장도에 따라 업무가 분화될 것이고 점차 각 분야의 담당자가 필요해 질 것이기 때문이 C레벨은 스타트업의 성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겠죠? 각 스타트업에 맞는 C레벨을 갖춰 성장하는 기업이 되길 소망해요.